이곳은 회원 여러분의 글을 올리시는 게시판입니다. 사진을 올리실때는 사진의 크기를 800 X 450 정도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사진크기는 회원분들이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절해 주신후 올리시면 됩니다. 회원가입이 안되신분들은 글을 볼수 있는 권한만 있습니다.

  인디오 봉기의 원인 분석에서 정부와 관변 지식인의 입장은 치아빠쓰의 빈곤과 억압을 주요한 원인의 하나로 들기는 하나 결정적인 원인으로 보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이러한 빈곤은 지난 500년 동안 있어 왔고, 여타 최빈곤 지역에 속하는 게레로(Guerrero)와 오아하까(Oaxaca)주에도 존재하는데 유독 그 시점에서 치아빠스에서만 일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치아빠스의 객관적 조건에 대한 의미부여를 가능한 한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오히려 외부세력의 음모와 개입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설명방식은 인디오 원주민의 저항능력을 은근히 무시하는 인종 주의적 편견을 강하게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치아빠스주에서의 그간의 수탈과 신자유주의 개혁 프로젝트가 농민들에게 준 상처를 과소평가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치아빠스 지역의 갈등은 사빠띠스타의 문건에서 나오는 표현대로 "50년간 투쟁의 산물"이다.   그런 점에서 여기에는 종족, 계층, 지역 등의 갈등이 복잡하게 혼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의 갈등이 종족적 차원을 포괄하고 있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농민반란의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주목한다면 당연히 토지문제를 둘러싼 정치경제적 갈등의 역사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고 특히 1994년이란 시점에서 터진 것을 고려한다면 그간의 신자유주의 기술관료들의 농정과 이것이 치아빠스에 미친 영향을 함께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 인디오 원주민들에게는 '사망진단서'라고 규정한 문건에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잘 읽을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치아빠스 사태의 정치경제적 배경을 지역적이고 국내적인 차원을 포함하는 국제노동분업에 의해 야기된 구조적 모순에서 설명하려는 연구성과의 유용성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Vasquez 1994).   여기서 우리는 멕시코 농업위기의 전반적인 상황을 분석하고 그 다음 치아빠스에 미친 영향을 시기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1910년 혁명 이후 농업의 미래는 멕시코 사회내에서 뜨거운 논쟁의 주제가 되어 왔다.   특히 이 문제는 농업의 위기가 거론되기 시작한 1970년 대부터 최근까지 꽤 오랫동안 내외의 이목을 집중시킨 바 있다.   이 논쟁의 핵심은 농업부문이 경제와 사회에서 취할 기능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 었다.   한 입장은 농업이 멕시코 농민들에게 존엄성, 고용, 그리고 안정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역사적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자세를 취한다.   이 입장은 농업정책이 주식의 자급자족을 보장하는 식량안보적 차원에서 수립되어야 하고, 농업부문은 국민경제의 다른 부문과 균형적인 발전을 추구해야 하며 수출에 우선 순위를 두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이러한 사고방식이 오늘날과 같은 무역자유화 시대에 더 이상 쓸모없는 향수라고 주장하는 입장이 있다.   신자유주의자들은 농민들에게 보조금을 주고 국내시장을 보호하기보다는 세계시장에서 경쟁을 하도록 농정 전반을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멕시코 토지 공유제인 에히도(Ejido) 제도를 해체시켜 민영화하고 이를 완전히 기업농으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결국 에히도제도를 민영화 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입장이 멕시코 현실과 향후 발전전망에 적절한지 판단하는 것은 쉬운 문제가 아니었던 것이 사실이다.   왜냐하면 멕시코야말로 소수의 강력한 애그리비지니스와 궁핍화된 대다수 농민이 양극화되어 있는 '이원화된 농업모델'이기 때문이다.   만약 전자의 입장을 취한다면 북부의 애그리비지니스나 미국의 농업이익에 유리하고, 저렴한 가격에 주곡을 수입하여 물가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대다수 주곡 생산 농민층에게는 심각한 타격을 주기 때문이다.  반면 후자의 입장을 취한다면 농촌부문에 안정을 기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장기적으로 일정한 수준의 재정부담을 져야만 한다.   그런 점에서 어떤 쪽을 취하든 선택의 비용은 남는다.   다만 그 비용을 최소화하고 갈등을 국지화하는 것이 최선책이라고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제임스


*마낄라도라(Maquiladora):스페인어로 '기계들이 놓인 작업장'이라는 뜻이며 멕시코 정부가 1960년대 중반 이후 멕시코 국경 지대 산업화를 위해 도입한 보세 가공 제도를 뜻한다.   한국의 구로공단처럼 외국 자본주가 운영하는 보세 가공공단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조회 수 :
70899
등록일 :
2013.08.15
14:27:56
엮인글 :
http://lovemexico.net/xe/?document_srl=13330&act=trackback&key=0f7
게시글 주소 :
http://lovemexico.net/xe/?document_srl=133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추천 수 날짜
39 지금은 형제들의 마을입니다 Doldari 51651   2008-07-30
무더운 여름이랍니다. 지금은 에이즈 환자촌과 무의탁 환자들이 있던 곳에 방문을 하였다가 티화나 센터로 돌아왔다. 텍사스 San Antonio의 우리의 용사들이 엄청난 기도와 함께 찬양의 능력이 우리의 일을 도움에 너무 너무 ...  
38 하나님의 자존심 김경민 51658   2007-07-23
지난 주간 창세기를 읽다가 한 스토리를 읽는 순간, 다음 줄거리로 넘어가지 못하고 그 이야기만 갖고 한주간을 보내게 되었습니다. 누워도 그이야기가 참으로 이해되지 않았고 운전을 할 때도 도대체 그렇게 많이 보아왔고, 그...  
37 The Reason why I LOVE MEXICO 김성봉 51658   2013-05-10
0 0 1 661 3771 Pepperdine University 31 8 4424 14.0 Normal 0 false false false EN-US JA X-NONE ...  
36 5-1 치아빠스 반란의 성격 관리자 53123   2014-04-22
현단계에서 치아빠스 반란의 성격을 정확하게 규명하기란 쉽지 않다. 심지어 치아빠스 사태를 어떻게 부를 것인가에 대해서도 일치된 이론이 아직은 없다. 사빠띠스따들은 이를 '혁명'이라고 분명하게 정의한다. 대부분의 분석가들...  
35 어메징 그레이스 관리자 53239   2013-09-05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한번 들어 보세요. http://youtu.be/w619TH8ooA0  
34 멕시코 인디오 반란의 전모와 개요 관리자 53448   2014-07-07
 1994년 1월 1일 새벽 첫날에 멕시코 남부 치아빠스(Chiapas)에서 인디오 원주민들이 주축이 된 사빠띠스따 민족해방군(EZLN)이 반란의 폭죽을 떠뜨리기 시작했다. 1993년 연말 오하하까 주의 비치 레조트에서 대통령 후보 꼴...  
33 4-(2) 멕시코 사회운동의 표출 관리자 54143   2013-12-06
 몇몇 연구자들은 인디오 치아빠스 사빠띠스따 봉기의 정치사회적 배경으로 '시민사회의 출현'을 들면서, "사빠띠스따의 봉기야말로 멕시코 정치체제가 이미 이전부터 직면해 온 정치적 위기 과정의 예정된 결과"라고 갈파한다...  
32 15시간의 값진 경험의 선물 InKyung Kim 54672   2009-05-18
바 캘리포니아를 다녀와서... 자동차 왕 헨리 포드는 “삶은 경험의 묶음들이며 각각의 경험은 우리를 위대하게 만든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5월 13일 단 하루였지만, 바 캘리포니아 라는 멕시코 지역의 방문은 내 삶에 또 ...  
31 부부의 일곱 고개 imagemovie 모두사랑 55656   2009-05-31
여러분은 어느고개를 넘고 있나요??? 부부의 일곱 고개 일단 결혼한 부부들은 싫든 좋든 다음과 같은 일곱 고개를 넘어야 한데요. 첫째고개는 환상의 고개로 신혼부터 3년쯤 걸려 넘는 고개로 갖가지 어려움을 비몽사몽간에 웃고...  
30 공지 관리자 55903   2010-07-31
그동안 문제되었던 Home Page를 다시 복구 하였습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29 4. 치아빠스 봉기의 객관적 요인 관리자 56059   2013-11-17
 멕시코의 사회학자인 라울 베니떼스는 게릴라가 존재하기 위한 조건으로 다음 세 가지를 지적하였다. 첫째, 적합한 사회적 상황 또는 민중봉기적 상황이 존재한다. 둘째, 무장을 선택하도록 결정하는 정치적. 군사적 지도부가 ...  
28 은혜로운 찬양 모음[26곡] movie 모두사랑 56104   2009-05-31
은혜로운 찬양 모음[26곡] 작성자 : 모두사랑  
27 다윗과 요나단 베스트찬양 모음[20곡] movie 모두사랑 56590   2009-08-30
 
26 멕시코 엔시나다와 티화나 현지 답사 소감(2/23/2013) 관리자 56907   2013-06-04
16년 전, 멕시코 선교지에서 박 세목 장로님과 함께 동역 했었던 기억들을 떠 올리며, 나성교회 교우들과 함께, 박 세목 선교사님의 사역지인 멕시코 엔시나다와 티화나를 둘러보면서 느낀 바를 披瀝하고자 합니다. "하나님을...  
25 고난 업어치기 image 모두사랑 57049   2009-05-20
좋은글이 있어 올려 봅니다. 고난 업어치기 유도에 입문할 때 맨 처음 배우는 공격 기술이 업어치기다. 상대방이 이 기술에 제대로 걸리면 큰 원을 그리면서 단번에 나가떨어진다. 우리 인생에도 지긋지긋하게 달라붙어 힘들게...  
24 Mexico Mission 을 다녀와서 (YM team) 관리자 57156   2012-08-06
안녕하세요! 장로님~^_^ 건강하시죠? 저 희영이에요>_< 멕시코 갔다온게 어제같은데 벌써 일주일이 넘었네요..ㅠ.ㅠ 이제서야 안부 여쭈어서 죄송합니다.ㅠ 저는 이번주 수요일에 독일에 도착했구요. 어제 사진정리가 끝나서 지금에서야...  
23 그날의 대학살 사건 관리자 57774   2013-12-08
  10월 2일 멕시코 학생 데모대 대학살 사건의 개요.  1968년 10월 2일은, 멕시코의 역사상 가장 슬픈 날이다. 라틴아메리카 역사상 처음으로 멕시코에서 개최되는 올림픽대회 준비에 여념이 없던 1968년에 멕...  
22 3-(3)원주민 저항활동의 동인(動因) 관리자 58166   2013-09-09
  1980년대에 들어와 민중주의적 실험으로 표류하던 경제정책 노선은 전면적으로 방향을 수정하게 되었다. 1970년대 석유붐 바람에 엄청나게 증가한 외채를 관리하고 경제의 방향을 재조정하지 않을 수 없는 내외의 분...  
21 3-(4)멕시코 농민들의 절망감 관리자 58677   2013-09-10
 델 라 마드리드 대통령 정부에 이어 살리나스 대통령 집권기(1988-1994)에 이르면서 멕시코 정부는 1980년대의 개혁과 개방 속도를 완전히 벗어나 본격적으로 신자유주의의 경제개혁정책을 추진한다. 이 신자유주의 경제정...  
20 단기선교를 다녀와서....(샌안톤니오 온누리교회) 우혜정 59858   2008-09-09
,........ 멕시코와 샌디에고의 접경을 통과하는 데에는 별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주일인 때문인지 차량의 행렬이 길지 않았고, 우리 일행들의 신분들은 확실했으므로. 국경을 가볍게 통과하자마자 도로변의 풍경들,..축복받은 땅 ...